Django를 공부하면서 항상 반복되는 프로젝트 생성 루틴이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매번 할 때마다 계속 찾아보는게 귀찮아서, 공부도 할 겸 정리도 해놓을 겸 포스팅하러 왔습니다 ㅎㅎ
본격적으로 Django 프로젝트 생성 루틴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git 협업 환경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한다는 전제 하에 포스트를 작성하였습니다.)
Django 프로젝트 생성 루틴 정리 + git
1. 가상 환경 생성
python -m venv venv
위 코드를 작성하면, 아래와 같은 폴더가 현재 디렉토리에 생성될 것입니다.

2. 가상 환경 활성화
source venv/Scripts/activate
위 코드를 작성하면, 가상 환경이 활성화됩니다.
아래와 같이 (venv)가 보이면 활성화 성공입니다!

3. Django 설치
이제 가상 환경 안에서 Django를 설치해봅시다.
pip install django

이렇게 쏼라쏼라 나오고 나면 설치가 된건데요, 확실한 확인을 위해 아래 명령어를 쳐봅시다.
pip list

네 이렇게 나오면 django가 잘 설치된 것입니다.
Django 이외에 다른 패키지들은 뭐냐구요?
의존성 패키지라는 건데요, 원래 django와 함께 설치되는 것들이니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4. 패키지 목록 파일 생성 (패키지 설치 시마다 진행)
패키지를 설치했으면, 매번 requirements.txt 라는 패키지 목록 파일을 생성해줘야합니다.
pip freeze > requirements.txt
위 명령어를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은 파일이 생성될 것입니다.

이걸 열어보면 이렇게 생겼습니다.

보시다시피, requirements는 설치된 패키지 이름과 버전 리스트가 기록되어 있는 파일입니다.
왜 만드냐구요?
나중에 git에 이 프로젝트를 올리게 되면, 현재 환경과 동일하게 만들어줘야 합니다.
즉, 똑같은 패키지를 다운 받도록 해야하는데,
requirements.txt가 있다면 시작할 때 아래 명령어로 위 리스트에 해당하는 모든 패키지들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pip install -r requirements.txt
5. .gitignore 파일 생성 (첫 add 전)
touch .gitignore
먼저 .gitignore 파일을 만들어 줍니다.
우리는 Django 프로젝트를 생성할거니까 그것과 관련한 .gitignore를 만들어줘야겠죠?
그런데 그걸 언제 다 치고 있습니까..
이미 사람들이 만들어둔 좋은 .gitignore가 있습니다!
아래 순서를 따라 해보세요!
<Django 관련 .gitignore 만들기>
1. Toptal 사이트 접속

2. "Django" 키워드 검색

3. 나오는 텍스트 전체 복사하여 .gitignore 파일에 붙여넣기

6. git 저장소 생성 (git init)
현재 디렉토리가 git clone된 디렉토리라면 이 과정은 생략하셔도 됩니다!
그게 아니라면, 저장소를 생성해줘야겠죠?
git init

명령어를 치면 뭐 이런식으로 Initialized 뭐시기 나옵니다.

ls -d .git 해보면 .git 디렉토리가 잘 만들어진 것을 알 수 있죠.
github와 같은 원격 저장소에 올리려면 아래 단계를 거치면 됩니다.
<원격 저장소에 올리기>
1. 깃허브에 레포지토리를 하나 만들고, 그 위치와 로컬 저장소를 연동해줍니다.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본인 계정>/<레포지토리 이름>
2. git push 명령어를 사용해 원격 저장소에 파일을 업로드 합니다.
git push -u origin master
7. Django 프로젝트 생성
이제 모든 준비가 완료되었으니, Django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됩니다!
django-admin startproject firstpjt .
=> firstpjt라는 이름의 프로젝트 생성
서버를 실행해보려면 아래 명령어를 치면 되겠죠?
python manage.py runserver
=> manage.py와 동일한 경로에서 명령어 실행해야 함
요약
여기까지 django 프로젝트 생성 루틴이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요약해보겠습니다.
1. 가상 환경 생성
2. 가상 환경 활성화
3. Django 설치
4. 패키지 목록 파일 생성 (패키지 설치 시마다 진행)
5. .gitignore 파일 생성 (첫 add 전)
6. git 저장소 생성 (git init)
7. Django 프로젝트 생성
'Study > Django' 카테고리의 다른 글
[Django] Django 사전 준비 사항 (0) | 2024.09.20 |
---|---|
[Django] VSCode에서 database 연결하기 (0) | 2024.09.20 |
[Django] Django에서의 요청과 응답 (0) | 2024.09.20 |
[Django] Django에서 앱 생성, 등록 절차 (0) | 2024.09.19 |